Large Rainbow Pointer
useState 대신 TanStack Query로 옵티미스틱 업데이트 구현한 이유
💜 리액트/라이브러리2024. 10. 9. 02:01useState 대신 TanStack Query로 옵티미스틱 업데이트 구현한 이유

시작하며...우주윗미 프로젝트에서 TanStack Query의 옵티미스틱 업데이트를 사용해서 게시물의 좋아요 기능을 구현하였다. 그런데 오늘 useState로 구현할 수 있을 거 같은데 굳이 TanStack Query를 사용한 이유를 질문받았다.....!(약간 당황하면서 대충 서버 상태를 반영해 준다고 답을 했다.) 그래서 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면서 글로 정리하게 되었다. 왜 useState가 아닌 TanStack Query를 사용했는지!! (참고로 TanStack Query의 옵티미스틱 업데이트를 적용한 내용은 해당 블로그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.) [TanStack Query] 옵티미스틱 업데이트 사용하여 좋아요 구현시작하며...이번 프로젝트에서 게시물의 좋아요/취소 기능을 구현하는데, 백..

[TanStack Query] 옵티미스틱 업데이트 사용하여 좋아요 구현
💜 프로젝트 구현2024. 9. 18. 23:31[TanStack Query] 옵티미스틱 업데이트 사용하여 좋아요 구현

시작하며...이번 프로젝트에서 게시물의 좋아요/취소 기능을 구현하는데, 백엔드 API 가 느려 응답을 기다리기까지 과정이 사용자 관점에서 좋지 않다는 단점을 발견하였다. 그러나 실제 SNS 에서는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도 좋아요/취소 기능이 바로바로 반영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그래서 이를 보고 좋아요 버튼을 누르면 클라이언트 측에 좋아요가 바로 반영되는 기능을 구현하려고 한다. 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TanStack Query 의 Optimistic Updates 를 사용하여 좋아요 기능을 구현하였다.  Optimistic UpdatesOptimistic Updates 란?단어 뜻 그대로 낙관적인 업데이트 라는 뜻이다. 서버 요청 시 클라이언트 측에서 UI 를 업데이트를 될 거라고 낙관적으로 가..

image
loading